DB 시작/종료 단계
Shutdown > Nomount(인스턴스 시작) > Mount(컨트롤 파일 open) > Open(모든 파일 open)
"Startup" 명령어를 이용해 인스턴스를 실행한다.
◈ 옵션
● Force : 오라클 DB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재실행 할 때 사용
ex) startup force
● Restrict : DBA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접속하여 사용
ex) startup restrict
● pfile : 오라클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파라미터 파일(init[SID].ora)이 아닌 관리자가 생성한 파라미터 파일을 사용하여 오라클 서버를 실행할 떄 사용
ex) startup pfile=<pfile 경로>
Startup 명령어를 이용해 인스턴스를 실행 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 역할들이 있음
1. Nomount :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컨트롤 파일을 재생성, 특정 백업 및 recovery 할 때 이용하는 단계
ex) startup nomount
- 파라미터 파일 읽기
- 메모리 할당(초기화)
-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시작
$ORACLE_HOME/dbs의 spfile[SID].ora를 검색한다. 없다면 아래 그림처럼 계속 검색하여 파라미터 파일이 없을 시엔 nomount 상태로 오픈되지 않는다.
2. Mount : Control file이 열린 뒤 가능, SGA에 올리는 단계로 데이터 파일, 로그 파일 등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는 단계 > Control file을 열어 동기화를 준비하는 단계 DB recovery 수행 가능
ex) startup mount / Nomount단계는 alter database mount
Nomount 상태의 파라미터 파일에서 지정된 Control file을 찾아 오픈 한 후 datafile과 online redolog 파일의 이름 및 샅패 확인
3. Open : 모든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열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단계
ex) startup / Nomount, mount 단계에서 alter database open
이전 Mount 단게에서 열린 Control file로 최신의 물리적 정보를 통해 Datafile과 redolog file을 open 시킴
이때 datafile 과 redolog file이 없다면 오류가 발생함
4. shutdown : 데이터 베이스를 종료 시키는 단계 startup의 역순으로 종료시킨다.
- Normal : 세션의 연결이 끊어 질 때 까지 대기하는 상태 / 기본값
- Transactional : 기존 트랜잭션을 종료 할 수 잇지만 새 트랜잭션을 시작 하지 않는 상태
- Immediate : 즉시종료,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옵션이며 커밋되지 않은 트랜잭션은 롤백
- Abort : 강제종료, 데이터들이 동기화되지 않고 종료됨
▶ 정리
1. Shutdown : instance가 켜지지 않는 단계
2. parameter 파일을 읽고 nomount로 올라감
3. nomount : 파라미터 값을 정상적으로 읽은 뒤 파라미터 값을 토대로 instance가 시작된 단계
- 파라미터 값 중에 control_file값이 있는데 여기에 control file정보가 저장되어 있음
4. control file을 읽고 mount로 올라감
5. mount : control file을 찾아서 정상적으로 읽은 상태
6. SMON이 redolog file을 읽어서 DB 동기화를 시켜줌
7. Open : DB가 정상적으로 켜진 상태, 일반 사용자 접속 가능
'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L Join / Sort Merge Join / Hash Join (0) | 2023.09.19 |
---|---|
SQL 트레이스 (0) | 2023.09.13 |
Voting Disk , OCR (0) | 2023.09.06 |
Oracle RAC (0) | 2023.09.05 |
AutoTrace (0) | 2023.09.04 |